본문 바로가기
간호-조무-기출

간호조무사 실기 그림 문제에 대한 유용한 정보와 출제 유형 분석

by 25년 간호조무사 합격도우미 2024. 9. 4.
반응형

간호조무사 실기 시험의 그림 문제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려고 합니다.

 

실기 시험은 2024년 하반기 시험까지는 100문항 중 30문항이 출제되고 그중 2문항이 그림 문제로 출제됩니다. 2025년 상반기 시험부터는 간호조무사 시험이 105문항으로 실기 문항수가 30문항에서 35문항으로 증가니다. 결론적으로 실기 그림문제 출제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기 그림문제 중요성

그림 문제는 간호조무사의 실무 능력을 평가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간호조무사 시험에서는 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문제들이 주로 출제됩니다. 예를 들어, 상처 드레싱 방법, 환자의 자세 변경, 능동적 관절 운동 범위, 심폐소생술 시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붕대법  등이 그림 문제로 나올 수 있습니다.

 

출제 유형 분석

간호조무사 실기 시험의 문제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출제됩니다. 째, 기본적인 간호 절차에 관한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맥박 측정하는 방법, 체온 측정하는 방법, 혈압 측정 절차 등이 있습니다.

요골 동맥은 엄지손가락 쪽 손목의 바깥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두 손가락(검지와 중지)을 사용하여 요골 동맥 위에 가볍게 누릅니다. 엄지손가락은 맥박 측정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팔을 심장 높이와 같은 높이로 위치시킵니다. 혈압계 커프를 상완(팔 위쪽)에 감습니다.   커프의 하단이 팔꿈치 위 약 2~3cm 위치에 오도록하고, 커프가  너무 느슨하거나 꽉 끼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맥박 측정하는 방법

환자의 손을 편안하게 위치시키고, 손목의 요골 동맥이 위치한 부분을 찾습니다.

요골 동맥은 엄지손가락 쪽 손목의 바깥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두 손가락(검지와 중지)을 사용하여 요골 동맥 위에 가볍게 노릅니다.

엄지손가락은 맥박 측정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엄지손가락에는 자체적으로 맥박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혈압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자세:

팔을 심장 높이와 같은 높이로 위치시킵니다.

혈압계 커프를 상완(팔 위쪽)에 감습니다. 

커프의 하단이 팔꿈치 위 약 2~3cm 위치에 오도록 하고, 커프가 너무 느슨하거나 꽉 끼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청진기를 팔꿈치 안쪽, 상완 동맥이 뛰는 부분에 위치시킵니다.

커프를 빠르게 팽창시켜 혈액 흐름을 막은 후, 천천히 공기를 빼면서 혈압계를 관찰합니다.

첫 번째 맥박 소리가 들릴 때의 수치를 수축기 혈압으로 기록하고, 소리가 사라질 때의 수치를 이완기 혈압으로 기록합니다.

 

 

둘째, 비상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묻는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응급 상황에서의 심폐소생술(CPR) 방법,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단계,  자동심장충격기 패드 위치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상황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지를 평가합니다.

 

간호조무사 실기 그림문제
환자의 가슴뼈 중앙, 즉 양쪽 유두를 잇는 선의 가운데(흉골 중앙)에 손을 놓습니다. 한 손의 손바닥을 흉골 위에 놓고, 다른 손을 그 손 위에 겹쳐 깍지를 낍니다. 손가락은 들고 손바닥만 가슴에 닿도록 합니다.

 

간호조무사 실기 그림문제
AED 사용 순서: 전원켜기 - 패드부착 - 분석버튼 - 충격버튼

 

간호조무사 실기 그림문제
환자의 가슴을 드러낸 후, 패드를 하나는 오른쪽 쇄골 아래, 다른 하나는 왼쪽 옆구리에 부탁합니다. 패드는 기기에 표시된 대로 정확히 부착합니다.

 

간호조무사 실기 그림문제
AED가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충격 버튼"을 누르라는 지시가 나옵니다. 이때도 모든 사람이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는지 확인한 후, 버튼을 늘러 충격을 가합니다.

 

심폐소생술(CPR) 중 자동 심장충격기(AED) 사용 시 중요한 포인트:

1. 준비: 자동 심장충격기 전원을 켜고, 지시에 따릅니다.

2. 패드 부착: 환자의 가슴을 드러낸 후, 패드를 하나는 오른쪽 쇄골 아래, 다른 하나는 왼쪽 옆구리에 부탁합니다. 패드는 기기에 표시된 대로 정확히 부착합니다.

3. 분석 버튼: 심장 리듬을 분석할 수 있도록 지시에 따라 버튼을 누르고, " 분석 중"일 때 환자에게서 떨어져 아무도 환자에게 닿지 않도록 합니다.

4. 충격 버튼:  AED가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충격 버튼"을 누르라는 지시가 나옵니다. 이때도 모든 사람이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는지 확인한 후, 버튼을 늘러 충격을 가합니다.

5. CPR 재개: 충격 후 즉시 가슴 압박을 재개하고, AED의 추가 지시에 따릅니다.

 

 

셋째, 위생 관리 및 감염 예방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손 위생 절차, 보호 장비 착용 방법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이 문제들은 병원 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 적인 절차들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검증합니다.

 

간호조무사 실기 그림문제
첫 번째 포장 펼치기: 포장 윗부분을 자신 쪽에서 멀리, 바깥쪽으로 첫 번째 접힌 부분을 펼칩니다. 양쪽 펼치기: 양쪽 접힌 부분을 양옆으로 조심스럽게 펼칩니다. 손이 멸균 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마지막 포장 펼치기: 마지막으로 아래쪽 부분을 자신 쪽으로 접어서 펼칩니다.

 

첫 번째 장갑 벗기: 한쪽 손으로 다른 손의 장갑 바깥쪽을 잡고, 장갑을 손목에서부터 뒤집어 벗습니다. 벗긴 장갑은 아직 장갑을 낀 손으로 쥐고 있습니다. 두 번째 장갑 벗기: 장갑을 벗은 손가락을 남은 장갑의 안쪽(손목 부분)에 넣고, 장갑을 뒤집어 벗습니다. 첫 번째 장갑을 두 번째 장갑 안에 말아 넣습니다. 폐기: 벗은 장갑은 즉시 적절한 폐기물 통에 버립니다.

 

첫 번째 장갑 착용: 장갑 포장을 열고, 장갑의 접힌 커프 부분을 잡아 첫 번째 손에 장갑을 끼웁니다. 두 번째 장갑 착용: 장갑을 낀 손으로 다른 장갑의 안쪽 커프를 잡고, 남은 손에 장갑을 끼웁니다. 커프 조정: 두 손으로 장갑의 커프 부분을 조정해 잘 맞추고, 손이 장갑 바깥쪽에 닿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소독용액 병의 뚜껑을 열고, 뚜껑은 안쪽이 위로가게 바닥에 놓고, 멸균된 용기나 장비에 소독용액을 조심스럽게 따릅니다. 병의 입구가 멸균된 용기나 다른 물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마스크의 위쪽 끈을 머리 위쪽에 묶고, 아래쪽 끈을 목 뒤에서 묶어 마스크를 고정합니다. 마스크의 아래쪽을 턱 밑까지 당겨 입과 턱을 완전히 가리도록 조정합니다. 마스크를 착용한 후 손을 다시 씻고 가운을 착용합니다.

 

 

효율적인 학습 방법

그림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학습 방법을 추천합니다. 

1. 교재와 모의고사를 활용하여 여러 유형의 문제들을 다뤄보면서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그림 문제를 풀 때는 그림 속의 세부 사항들을 꼼꼼히 살펴보고, 각 단계별 절차를 정확히 기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기출문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 기출문제는 시험의 출제 경향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 블로그를 통해 소개한 그림 문제의 학습 방법을 참고하시면 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간호조무사 관련 정보와 공부 방법을 공유할 예정이니,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립니다.

반응형